이보다 예전 음식들을 아시고 싶으시면 아래를 클릭해서 이전날짜 게시물을 보시길...
길거리 음식 2화, 순대
🐷 순대(Sundae)란?**순대(Soondae, Sundae)**는 돼지의 창자에 각종 재료(당면, 채소, 선지 등)를 넣어 찐 음식으로, 한국의 전통적인 내장 요리이자 국민 간식입니다. 떡볶이, 오뎅과 함께 분식집 3대장
a2.masterbdzero.com
🍢 오뎅이란?
**오뎅(おでん)**은 원래 일본어에서 유래한 말로,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묵 또는 어묵탕을 가리킬 때 흔히 사용하는 명칭입니다.
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한국에서 "오뎅"이라고 부르는 음식은 어묵을 꼬치에 꽂아 따뜻한 국물에 끓여 먹는 형태로, 어묵국(어묵탕) 또는 꼬치오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
📜 오뎅의 유래
- 일본의 오뎅: 일본에서는 다양한 재료(무, 달걀, 곤약, 어묵 등)를 간장 베이스 국물에 오래 끓여 만든 국물 요리로, 겨울철 대표 음식 중 하나입니다.
- 한국의 오뎅: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음식 문화의 영향을 받아 어묵탕 형태로 발전하였으며, 이후 한국 고유의 매운 양념과 멸치 육수 기반의 국물 맛으로 변화되었습니다.
- 한국에서는 "오뎅"이라는 표현을 많이 쓰지만, **순우리말로는 '어묵(魚麴)'**이라 부르는 것이 맞습니다.
🐟 어묵의 재료와 제조
- 주재료: 생선살 (주로 명태, 꽁치, 고등어, 연육 등)
- 부재료: 밀가루, 전분, 설탕, 소금, 조미료 등
- 제조 과정:
- 생선 살을 갈아 연육 상태로 만듬
- 밀가루, 전분 등을 섞어 반죽함
- 다양한 형태로 성형 (납작, 동그랗게, 길쭉하게 등)
- 튀기거나 찜기로 쪄서 완성
🍲 오뎅의 다양한 형태
형태설명
납작어묵 | 가장 기본적인 어묵, 납작하게 펴서 튀긴 형태 |
꼬치어묵 | 어묵을 접어서 꼬치에 꽂은 형태, 어묵국에 사용 |
볼어묵 | 동그랗게 빚은 어묵, 쫄깃하고 탱탱한 식감 |
야채어묵 | 안에 당근, 파, 양파 등 다양한 야채가 들어간 어묵 |
치즈어묵 | 속에 치즈가 들어가 있어 부드럽고 고소한 맛 |
매운어묵 | 고추나 매운 양념을 넣어 매콤한 맛을 낸 어묵 |
🍜 오뎅 국물 만들기
오뎅의 국물은 담백하면서도 깊은 맛이 특징입니다.
기본 레시피:
- 재료: 물, 멸치, 다시마, 무, 양파, 대파
- 양념: 국간장, 소금, 후추, 간 마늘 등
- 비법 팁: 무를 큼직하게 넣고 오래 끓이면 국물이 더 시원하고 달콤해짐
🏪 오뎅의 소비 문화
- 포장마차의 상징
오뎅은 한국의 포장마차 음식 문화를 대표합니다. 겨울철 길거리에서 따뜻한 국물과 함께 먹는 오뎅은 서민의 정서를 담고 있는 음식입니다. - 분식집 단골 메뉴
떡볶이, 순대와 함께 자주 먹으며, 오뎅 국물은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인기가 많습니다. - 편의점 오뎅
최근에는 편의점에서도 컵 오뎅, 진공포장 어묵, 냉장 오뎅 등을 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. - 명절 음식으로도 활용
어묵볶음(어묵채볶음)은 설날이나 추석 같은 명절 음식 반찬으로 자주 올라갑니다.
🌐 오뎅 vs 어묵: 어떤 표현이 맞을까?
- "오뎅": 일본어식 표현.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공식 표기나 방송 등에서는 자제하는 분위기입니다.
- "어묵": 순화된 표기이며, 국립국어원에서도 어묵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
🧡 마무리
**오뎅(어묵)**은 한국인의 일상 속에 깊이 스며든 음식입니다. 추운 겨울날 뜨끈한 국물 한 모금에 마음까지 녹는 그 맛, 친구들과 포장마차 앞에 둘러앉아 나누던 이야기 속에 오뎅은 언제나 함께 했습니다.
한국 고유의 맛으로 변화해온 어묵은 앞으로도 다양하게 발전하며 우리의 식탁과 거리 문화를 지켜갈 것입니다.
'길거리 음식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길거리 음식 2화, 순대 (2) | 2025.07.31 |
---|---|
길거리 음식 1화, 떡볶이 (2) | 2025.07.31 |